본문 바로가기
ComputerStory/컴퓨터Q&A

맞춤법 띄어쓰기 검사기 종류 및 추천

by 재한영스 2022. 7. 26.
반응형

글을 쓰거나 작성을 할 때, 흔히 맞춤법 검사기 확인을 해보거나, 

띄어쓰기 검사기 활용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간단한 맞춤법 검사기 활용은 대부분이 WEB을 통해 사용을 하게 되더군요.

저 역시도 업무상 필요시에는 맞춤법 검사기 사용을 하는데,

사용을 해보면 분류는 총 3가지 정도로 나눠볼 수가 있습니다. 

 

 

1.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개인적으로 맞춤법 검사기 추천을 해달라고 한다면 가장 먼저 이야기를 할 것이 바로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입니다. 간단하게 활용이 가능하기도 하고, 

가장 수정이나 정확도가 높게 느껴지기도 하고요. 

그렇다고 해서 다른 툴들이 성능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나,

만족도가 굉장히 높게 느껴지는 편입니다.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장점을 이야기 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한 문서 작성 및 확인이 용이
  • 여러 단락들을 보다 빠르게 다시 쓰기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
  • 대부분의 검사기가 본문에 직접 수정 처리를 하나 별도로 우측에 수정 내용이 리스트업 됨.

물론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간혹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새로운 단어들을 적거나 할 경우에는 짧은 단락임에도 불구하고

검사를 실패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물론 이런 경우가 많은 편은 아니나 영문 표기라던가 새로운 말들이 리스트 형태로 들어갈 경우

실패가 뜨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이런 부분은 조금 아쉽기는 했습니다.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를 돌린 후의 화면

 

2. 포털 사이트 제공 맞춤법 검사기

예전부터 유지가 되고 있기는 한데, 다음에서도 맞춤법 검사기가 제공이 되고 있습니다.

사실 예전에는 상당히 자주 저도 활용을 하기는 했는데

최근에는 아무래도 위에 언급한 검사기 활용이 좀 잦아진 편입니다. 

바로바로 띄어쓰기 검사기 등으로 포털에서 검색해서 찾아보시는 분들의 경우에

별도의 타 사이트에 가지 않고 즉시 활용을 해볼 수 있다는 점은 장점이 될 수 있을 듯합니다. 

 

다음 맞춤법 검사기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3. 채용 사이트들의 검사기

흔히 많이들 알고 계신 잡코리아, 인크루트, 사람인 등에서도 맞춤법 검사기를 제공하는데요. 

아무래도 이력서 등의 내용을 적는 경우에 이러한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를 신경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거라 생각됩니다. 

해당하는 맞춤법 검사기 중에는 그래도 잡코리아 쪽이 가장 나은 모습을 보여준다 생각되는데요.

간단한 수정 관련 내용과 함께 하단에 해당 내용이 디테일하게 나오기에 보고 사용하기가

다른 검사기 대비 나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간단한 글자수 세기 등도 제공이 되기도 하고요.

 

잡코리아 / 사람인 / 인크루트 맞춤법 검사기

 

 

아참  티스토리 경우에는 하단에 맞춤법 검사기가 이미 있습니다.

블로그 콘텐츠를 쓰는 경우라면,

한 번씩 확인을 바로바로 해보시는 것도 좋겠죠.

 

티스토리 맞춤법 검사기

사실 한글이 참 쉬운 문자는 아니라 생각됩니다. 

띄어쓰기도 어렵고 맞춤법 역시 헷갈리는 경우들이 종종 있는데요. 

 

자부심을 가질만한 언어인 한글을 사용할 때 이러한 검사기를 활용하면 좀 더 깔끔한

문서나 글들을 작성할 수 있을 겁니다. 

저 역시 오타나 맞춤법 확인을 하면서 알게 모르게 잘못 알던 단어나 띄어쓰기를 확인하면서

공부를 하게 되기도 하더군요!

 

반응형

댓글